본문 바로가기
○ 건강정보

유방암 생존율 높이는 법, 조기검진이 답이다

by 분이양 2025. 4. 18.
728x90
반응형
SMALL



유방암 제대로 알기




1. 유방암이란?


유방암은 유방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암)**입니다. 여성의 암 중 가장 흔하며, 최근에는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유방암은 유방 조직의 **유관(젖을 운반하는 관)**이나 **소엽(모유를 생성하는 부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대부분 유관에서 시작되며, 조기 발견 시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2. 유방암의 발생 위치


유방은 소엽, 유관, 지방, 결합조직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80% 이상이 유관암(ductal carcinoma)**으로 발생합니다.

나머지는 **소엽암(lobular carcinoma)**이나 드물게 결합조직에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구조물 중 어디에서 암이 시작되느냐에 따라 증상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유방암의 주요 원인


유방암은 단일 원인보다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1. 호르몬 요인

에스트로겐 노출이 많을수록 위험 증가

초경이 빠름(만 12세 이전), 폐경이 늦음(만 55세 이후)

첫 출산이 늦거나 출산 경험이 없음

모유 수유 경험 부족

경구피임약 및 호르몬 치료 장기 복용



2. 유전적 요인

직계 가족 중 유방암·난소암 환자 존재

BRCA1, BRCA2 유전자 돌연변이



3. 생활습관 요인

음주, 흡연, 고지방식, 비만, 운동 부족

야간 근무나 수면 부족 등 생체리듬 불균형







4. 유방암의 증상


초기 유방암은 자각 증상이 거의 없지만,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다면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1. 유방에 만져지는 딱딱하고 고정된 멍울


2. 유두 분비물, 특히 혈성 분비물


3. 유두의 함몰 또는 비대칭


4. 유방 피부의 함몰, 울퉁불퉁함, 오렌지 껍질처럼 변형됨


5. 겨드랑이에 통증 없는 림프절 비대





5. 유방암의 진단 방법


유방암 조기 발견은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가검진

20세 이후 매달 생리 끝난 후 5~7일 사이에 실시

멍울, 비대칭, 분비물 체크



2. 유방촬영술(맘모그램)

40세 이상 여성은 1~2년 간격으로 검사 권장



3. 유방 초음파

유방이 치밀한 경우 필수



4. 조직검사

이상이 보일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시행







6. 유방암의 치료 방법


암의 진행 단계, 유전자 특성, 환자의 나이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1. 수술 치료

부분절제술: 암 부위만 제거

전절제술: 유방 전체 제거



2. 항암 화학요법

수술 전·후 암세포 제거 및 전이 방지



3. 방사선 치료

남아 있는 암세포 제거 목적



4. 호르몬 치료

호르몬 수용체 양성일 경우, 암 재발 방지



5. 표적 치료

HER2 단백질 과발현 환자에게 효과적

암세포만 공격하여 부작용 감소







7. 유방암의 예방 방법


유방암은 100% 예방은 어렵지만, 위험 요인을 줄이는 것은 가능합니다.

1. 정기 검진 습관화

자가검진은 20대부터, 병원 검진은 40세 이상 정기적으로



2. 건강한 식습관 유지

저지방 식사, 신선한 채소와 과일 섭취

가공식품, 인스턴트 음식 피하기



3. 규칙적인 운동

주 3~5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



4. 체중 관리

특히 폐경 후 비만 주의



5. 금주, 금연

알코올과 흡연은 유방암 위험 크게 증가



6. 모유수유 권장

유방암 발생률 낮추는 데 효과적







8. 유방암 외 꼭 알아야 할 여성 질환


1. 자궁경부암

HPV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

예방접종 및 정기적인 세포검사 필요



2. 난소암

초기 증상 거의 없어 ‘침묵의 암’으로 불림

가족력이 있으면 정기검진 필수



3. 자궁내막증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 존재

심한 생리통, 불임의 원인 가능



4.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배란장애

생리불순, 여드름, 체중 증가 등 동반



5. 유방 양성 종양(섬유선종, 낭종 등)

대부분 양성이지만 크기나 변화 있을 시 진단 필요







유방암은 조기 검진과 꾸준한 관심을 통해 충분히 관리 가능하고 생존율도 높은 암입니다. 자가검진, 정기검진, 건강한 생활습관은 유방암뿐 아니라 모든 여성 질환 예방의 핵심 열쇠입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스스로를 돌보는 시간을 가지며 오늘부터라도 내 몸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보세요.
작은 관심이 건강한 미래를 만듭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